중랑구, 개별공시지가 일괄 정비 추진사업 완료공간정보융합으로 행정정보 정확도 높였다
|
(중랑=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중랑구(구청장 류경기)가 지난 5일, 공간정보 융합 기술을 적용해 지가 행정정보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개별공시지가 일괄 정비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행정업무에 사용되는 기존의 자료들은 주로 자연・환경적 특성 등을 나타내는 속성정보 기반으로 작성되었고, 전산화 이전에 생성되어 현황과 불일치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구는 지난 5월부터 개선 사업을 추진했다.
이번 정비 대상은 개별공시지가 37,967필지로, 약 100만 개의 토지 특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특히 기존 개별공시지가 데이터를 지적 정보와 결합하여 위치와 형태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공간정보로 변환했다.
아울러 ▲주소 정보 ▲3차원 공간정보(S-Map) ▲도로 정보 ▲도시계획정보 ▲수치지형도 등, 다양한 분야의 공간정보를 융합·분석해 개별공시지가 자료를 정비했다.
개별공시지가 산정의 기반이 되는 표준지에 대한 공간정보 분석도 시행했으며, 2025년 표준지 조사에 반영하기 위해 감정평가사와 협의를 마쳤다.
이번 사업은 전국 최초로 지가 정보 융합 분석을 도입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2024년 서울시 토지·지적 관리업무 평가 부동산평가 분야 최우수구로 선정됐다.
또한 단순한 자료 정비를 넘어, 지가 정보를 유형별로 체계화하고 담당자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구는 이번 사업 결과를 부동산 공시가격 산정시스템에 반영하도록 제안할 계획이다. 또한, 공간정보에 대한 각 부처 간 데이터 공유를 활성화하고 정보 간 상호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 첫 사례가 되어, 더욱 효율적인 행정환경 개선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다양한 공간정보가 융합된 만큼, 각 부처에서 업무에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구민이 신뢰할 수 있는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ungnang-gu Completes Individual Public Notice Land Price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
Improved administrative information accuracy through spatial information fusion
- Fusion of spatial information by field such as land price information, urban planning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road information, and digital topography
- Selected as the best district in the 2024 Seoul Special City Land Business Evaluation Real Estate Evaluation sector
- Reporter Ha In-gyu
(Jungnang=Break News Gyeonggi Northeast) Jungnang-gu (Head of District Ryu Gyeong-gi) successfully completed the Individual Public Notice Land Price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 to improve the accuracy of land price administrative information by applying spatial information fusion technology on the 5th.
Existing data used in administrative work were mainly created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indicating natur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tc., and were created before computerization, so there were cases where they were inconsistent with the current status. To improve this, the district has been promoting improvement projects since last May.
The target of this maintenance is 37,967 individual public notice land lots, and the accuracy was improved by closel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pproximately 1 million land lots. In particular, the existing individual public notice land price data was combined with land information to convert it into spatial information that can clearly confirm the location and shape.
In addition, the individual public notice land price data was organized by integrating and analyzing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uch as ▲ address information ▲ 3D spatial information (S-Map) ▲ road information ▲ urban planning information ▲ digital topographic maps.
The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of the standard land, which i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individual public notice land price, was also conducted, and consultations with real estate appraisers were completed to reflect it in the 2025 standard land survey.
This project was highly evaluated as the first in the country to introduce land price information integration analysis, and was selected as the best district in the real estate evaluation field of the Seoul Land and Land Management Work Evaluation in 2024.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ystematizing land price information by type and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those in charge beyond simple data maintenance.
The district plans to propose that the results of this project be reflected in the real estate public notice price calculation syste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more efficient improvement of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will be possible as it will be the first case to activate data sharing between each department on spatial information and confirm the mutual improvement effect between information.
Ryu Gyeong-gi, the head of Jungnang-gu, said, “As various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integrated, each department will be able to utilize spatial information in their work,” and “We will continue to do our best to provide administrative services that residents can trust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
|||
|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