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교 의원, 제17회 몽양국제학술심포지엄 주최

“몽양 여운형 선생의 정치·외교적 혜안을 계승하여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에 대응하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바로 세워야!”

하인규 기자 | 기사입력 2024/11/29 [03:33]

김선교 의원, 제17회 몽양국제학술심포지엄 주최

“몽양 여운형 선생의 정치·외교적 혜안을 계승하여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에 대응하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바로 세워야!”

하인규 기자 | 입력 : 2024/11/29 [03:33]

▲ 김선교 의원 제17회 몽양국제학술시포지엄 참석자들과 기념촬영 모습(사진제공=김선교사무실)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양평=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선교 국회의원(국민의힘, 경기 여주시·양평군)은 지난 27일(수) 국회에서「제17회 몽양국제학술심포지엄 ‘동북아 정세와 몽양 여운형의 정치·외교 활동’」을 국회의원 윤호중과 (사)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와 공동주최했다. 몽양기념관(관장 유영표)은 주관, 국가보훈부와 양평군이 후원을 맡았다.

 

몽양 여운형 선생의 정치적 사상과 외교적 활동을 통해 동북아시아 정세를 재조명한 이번 학술심포지엄에서는 당시 선생이 보여준 정치·외교적 통찰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급변하는 한반도 주변 정세의 위기를 함께 인식하며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의 주제발표는 4가지 주제로 진행됐다. ▲‘한국과 오스트리아 초기 해방정국:단일 임시정부와 국제 차원을 중심으로’(김학노 영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여운형과 중국혁명:1918~1922년 국제인식 변화를 중심으로’(배경한 신라대 명예교수) ▲여운형과 러시아(소련) 관련 활동(홍웅호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연구교수) ▲‘몽양 여운형의 외교·정치 활동에서의‘민족’:오카와 슈메이와의 교차를 중심으로’(야마모토 코쇼 도쿄경제대학 연구원)으로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종합토론은 이규수(동농문화재단 강덕상자료센터장)을 좌장으로 ▲반병률(한국외대 명예교수) ▲윤상원(전북대 사학과 교수) ▲전성곤(한림대 일본학연구소 HK교수)가 참여하여 발표자들과 함께 열띤 토론을 펼쳤다.

 

▲ 포스터(사진제공=김선교사무실)  © 팝업뉴스 하인규 기자

 

심포지엄을 주최한 김선교 의원은 “흑백논리 이념이 극명했던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몽양 여운형 선생은 대한민국의 독립과 좌우 진영의 화합, 민족의 통일을 위해서 일생을 바치셨던 분으로 현시점의 대한민국 정치 상황에 던지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고 언급했다.

 

또한 김 의원은“시대를 앞서가는 통찰과 혜안으로 조국의 광복을 미리 준비하고, 통일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매진했던 선생의 정치·외교 활동상을 다시 조명해, 현재의 복잡한 동북아 정세 속에서 대한민국이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바로 세워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text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p. Kim Seon-gyo, Host of the 17th Mongyang International Academic Symposium

"We must inherit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insight of Mr. Mongyang Yeo Un-hyeong,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Northeast Asian situation,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 Reporter Ha In-gyu

(Yangpyeong=Break News Gyeonggi Northeast) Rep. Kim Seon-gyo (People Power Party, Yeoju-si, Yangpyeong-gun, Gyeonggi),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Food, Oceans and Fisheries Committee, co-hosted the "17th Mongyang International Academic Symposium 'Northeast Asian Situation and Mongyang Yeo Un-hyeong's Political and Diplomatic Activities'" with Rep. Yoon Ho-joong and the Mongyang Yeo Un-hyeong Memorial Foundation (NGO) at the National Assembly on Wednesday, the 27th. Mongyang Memorial Hall (Director Yoo Young-pyo) hosted the event, an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Yangpyeong County sponsored it.

 

This academic symposium, which sheds new light on the Northeast Asian situation through the political ideology and diplomatic activities of Mongyang Yeo Un-hyeong, was held to examine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insight that the scholar displayed at the time, and to recognize the crisis of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is and to seek the direction that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take.

 

The main presentations of this symposium were conducted under four themes. ▲‘Early Liberation Period in Korea and Austria: Focusing on the Singl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International Dimension’ (Kim Hak-no,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Yeungnam University), ▲‘Yeo Un-hyeong and the Chinese Revolution: Focusing on Changes in International Perception from 1918 to 1922’ (Baek Kyung-han, Professor Emeritus, Silla University), ▲Yeo Un-hyeong and Activities Related to Russia (Soviet Union) (Hong Woong-ho, Research Professor, Dongguk University Institute of Foreign Exchange), ▲‘‘Nation’ in Mongyang Yeo Un-hyeong’s Diplomatic and Political Activities: Focusing on Intersections with Okawa Shumei’ (Yamamoto Kosho, Researcher, Tokyo University of Economics).

 

The following comprehensive discussion was led by Lee Gyu-soo (Director, Dongnong Cultural Foundation Kang Deok-sang Data Center), and ▲Ban Byeong-ryul (Professor Emeritu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Yoon Sang-won (Professor, Department of Histor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Jeon Seong-gon (Hanlim University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HK Professor), who engaged in a heated discussion with the presenters.

 

Kim Seon-gyo, who hosted the symposium, said, “Despite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ideology of black-and-white logic was very strong, Mongyang Yeo Un-hyeong devoted his life to the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econciliation of the left and right camps, and the unification of the nation, and he has great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Kim emphasized, “We should reexamine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activities of the teacher who prepared for the liberation of the country in advance with insight and foresight ahead of his time and devoted himself to establishing a unified government,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so that it can play a role as a global pivotal country in the current complex Northeast Asian situation.”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포토뉴스
국민의힘 구리시 당원협의회,단합과 비전 다져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