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교 의원, 최근 5년여간 불법농약 유통 단속, 총 500건 적발!

- 부정농약 129건, 불량농약 108건 등!
- 불법농약 유통 적발 경기지역 100건으로 최고! 충남·서울, 강원, 전북, 전남 순으로 적발돼
- 김 의원, “불법농약 무분별한 사용으로 농작물의 2차 피해, 국민 건강 위협되지 않도록 철저히 단속을 강화하고, 해외 온라인 불법농약 유통 관련 대책 조속히 마련해야”

하인규 기자 | 기사입력 2024/10/27 [22:04]

김선교 의원, 최근 5년여간 불법농약 유통 단속, 총 500건 적발!

- 부정농약 129건, 불량농약 108건 등!
- 불법농약 유통 적발 경기지역 100건으로 최고! 충남·서울, 강원, 전북, 전남 순으로 적발돼
- 김 의원, “불법농약 무분별한 사용으로 농작물의 2차 피해, 국민 건강 위협되지 않도록 철저히 단속을 강화하고, 해외 온라인 불법농약 유통 관련 대책 조속히 마련해야”

하인규 기자 | 입력 : 2024/10/27 [22:04]

▲ 김선교 의원(국민의힘 여주시양평군)(사진제공=김선교사무실)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양평=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국민의힘, 경기 여주시‧양평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여간(2019~2024.9) 불법농약 유통 위반 적발현황>을 분석한 결과, 밀수입을 포함해 무등록 농약, 표시사항 등에 문제가 있는 부정농약으로 129건, 약효보증 기간 경과, 품질 불합격 등의 불량농약이 108건, 기타 위반이 237건 등 총 500건이 적발됐다고 밝혔다.

 

지역별 불법농약 유통 단속내역으로는 전체 491건 중 경기 지역이 100건, 충남·서울 지역이 48건, 강원 지역이 45건, 전북지역 44건, 전남지역 43건 순으로 적발됐다.

 

부정농약 유통 중에 오프라인 판매는 22년 이후 적발 건수가 없으나, 온라인 판매는 2022년도 10건이었던 것에 비해 2023년 44건으로 대폭 늘어나, 올해 6월까지 적발도 24건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온라인 유통 불법 농약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불법농약 판매 게시물 삭제 및 접속차단 조치는 2023년 24건이 차단됐고, 올해 9월까지 총 109건이 차단 완료됐으며 48건은 차단 심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온라인쇼핑협회에서는 주요 쇼핑몰 등 국내 사이트의 불법유통 농약 판매 게시물을 차단하고 있으며, 해외에 서버를 둔 경우에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차단하고 있다.

 

이와 관련 김선교 의원은 “불법밀수 및 온라인 해외직구 등으로 유통되거나 미등록된 불법농약은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아 농업인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고, 농산물 안정성과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서, “불법농약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농작물의 2차 피해와 농업인 뿐 아니라 국민 건강의 위협이 되지 않도록 단속을 강화하고, 해외 온라인 판매 농약 유통과 관련한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p. Kim Seon-gyo, 500 cases detected in crackdown on illegal pesticide distribution over the past 5 years!

- 129 cases of illegal pesticides, 108 cases of defective pesticides, etc.

- Gyeonggi region has the highest number of cases detected in illegal pesticide distribution, with 100 cases! Detected in the order of Chungnam·Seoul, Gangwon, Jeonbuk, and Jeonnam

- Rep. Kim, “We must thoroughly strengthen crackdowns to prevent secondary damage to crops and threats to the health of the people due to indiscriminate use of illegal pesticides, and quickly establish measures related to illegal pesticide distribution overseas online.”

 

- Reporter Ha In-gyu

 

(Yangpyeong=Break News Gyeonggi Northeast) Rep. Kim Seon-gyo (People Power Party, Yeoju-si, Yangpyeong-gun, Gyeonggi) of the National Assembl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Committee analyzed the <Status of Violations of Illegal Pesticide Distribution in the Last 5 Years (2019~2024.9)> submit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announced that a total of 500 cases were detected, including 129 cases of unregistered pesticides, illegal pesticides with problems in labeling, etc., including smuggling, 108 cases of defective pesticides such as expired efficacy guarantee period and unsatisfactory quality, and 237 cases of other violations.

 

By region, out of a total of 491 cases of illegal pesticide distribution, 100 cases were detected in Gyeonggi, 48 in Chungnam and Seoul, 45 in Gangwon, 44 in Jeollabuk, and 43 in Jeollanam.

 

While no cases of illegal pesticide distribution have been detected since 2022, online sale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0 cases in 2022 to 44 cases in 2023, with 24 cases detected as of June this year.

 

Through real-time monitoring of illegal pesticide distribution online, 24 cases of illegal pesticide sales posts were deleted and access was blocked in 2023, and a total of 109 cases were blocked as of September this year, with 48 cases under review for blocking. The Korea Online Shopping Association blocks illegal pesticide sales posts on domestic sites such as major shopping malls, and in cases where servers are located overseas,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blocks them.

 

In this regard, Rep. Kim Seon-kyo emphasized, “Illegal pesticides distributed through illegal smuggling and online overseas direct purchase, or unregistered pesticides, have not been confirmed to be safe and may harm the health of farmers, and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st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environment.” He added, “We must strengthen crackdowns to prevent indiscriminate use of illegal pesticides from causing secondary damage to crops and threatening the health of not only farmers but also the public. We must also quickly come up with measure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esticides sold online overseas.”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포토뉴스
국민의힘 구리시 당원협의회,단합과 비전 다져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