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주 경기도의원,"에듀테크 기반한 k-에듀 만들자"

"경기도 지역사회 평생교육 활성화 토론회" 좌장 맡아
인구구조의 변화, 평생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 더 커져
이의원, 디지털로의 대전환 시기, 다양한 요구를 수용한 K-에듀 만들자

하인규 기자 | 기사입력 2023/06/10 [13:18]

이은주 경기도의원,"에듀테크 기반한 k-에듀 만들자"

"경기도 지역사회 평생교육 활성화 토론회" 좌장 맡아
인구구조의 변화, 평생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 더 커져
이의원, 디지털로의 대전환 시기, 다양한 요구를 수용한 K-에듀 만들자

하인규 기자 | 입력 : 2023/06/10 [13:18]

▲ 경기도의회 이은주 의원 경기도 지역사회 평생교육 활성화 토론회 좌장 맡아 진행 모습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 경기도의회 이은주 의원 경기도 지역사회 평생교육 활성화 토론회 좌장 맡아 진행 모습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구리=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이은주 의원(국민의힘, 구리2)이 좌장을 맡은 「경기도 지역사회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가 지난 8일(목) 14시 경기도청 대강당에서 평생교육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양흥권 대구대학교 교수는 한국교육학의 성장 과정과 성장 이면에 간과해왔던 영역을 설명하면서 앞으로 한국교육학이 반성적 성찰을 통해 체계를 재정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자의 교육역량 강화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 토론자로 나선 이현근 경기도지역사회교육연합회 회장은 평생교육은 국가기관 주도가 아닌 지역주민들의 요구를 즉각 반영할 수 있는 지역별 거점 평생학습관이 구심체가 되어야 하며, 지역별 거점 평생학습관은 비영리 민간단체에 의한 위탁운영과 위탁기관 근무 평생교육사에 대한 인건비 지원을 통해 안정적이고 질 높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 토론을 맡은 최해옥 W&K 교육연구소 소장은 자녀를 키우면서 필요에 의해 부모교육을 배우고, 대학원에서 전공을 하여 지금은 부모교육을 가르치게 된 자전적 경험을 통해 부모에 대한 부모교육이 평생교육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하며, 나아가 자녀의 성장·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부모교육이 강화되어야 가정과 사회 전반에 긍적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세 번째 토론을 맡은 조 랑 소산서원 위탁기관 대표는 문중 개인소유인 소산서원이 시민의 평생학습의 장으로 시설이 개방되어 활용되기까지의 험난했던 과정을 설명하면서 문중 내부에서도 시설물 파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지역 주민들에게 바른 역사의식과 전통문화를 계승토록 해야한다는 전향적 판단과 비영리 민간단체를 위탁기관으로 지정하여 지난 16년간 안정적으로 운영해왔던 경험, 그리고 지자체의 관심이 함께 했기에 가능했음을 설명했다.

 

네 번째 토론을 맡은 강상재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본부 본부장은 지금까지 이룩한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원동력은 학령인구에 대한 교육에 있었지만 이제는 인구구조의 변화로 평생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임을 지적하면서 현재 평생교육에 대한 예산적 한계를 넘어서야 하며,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들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다섯 번째 토론을 맡은 지미숙 경기도교육청 평생교육과장은 지금까지 교육청이 담당해온 평생교육을 설명하면서 교육청의 주된 업무영역이 학령인구에 대한 교육지원이었기에 이와 관련한 평생교육을 중점적으로 업무해 왔지만 시대적 환경이 변하고 있는 만큼 교육청에서도 한 사람의 삶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평생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날 토론회의 좌장을 맡은 이은주 의원은 “교육이 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시기에는 사회적 번영을 이루었지만, 교육이 산업 발전보다 뒤처지면 사회적 불평등을 유발한다는 미국학자들의 연구결과가 있다”고 말하고, “디지털로의 대전환 시기인 바로 지금이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에듀테크에 기반한 K-에듀를 선도적으로 만들어 가야 할 때다”라며,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이 함께 평생교육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에 적극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 이은주 경기도의원 토론회 참석자들과 기념촬영 모습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이날 토론회에는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 김미리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위원장, 김달수 경기도 정무수석, 홍정표 경기도교육청 융합교육국장이 축하 인사를 전했으며, 김영기 경기도의원, 이제영 경기도의원, 백현종 경기도의원도 토론회에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article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ncreas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Lee Eun-joo, a member of Gyeonggi-do, "Let's make an edu-tech based k-edu"

Served as the moderator of the "Discussion on the Vita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Community of Gyeonggi-do"

Changes in demographic structure, increasing importance and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Congressman Kim, at the time of great transition to digital, let's make K-Edu that accommodates various needs

 

-Reporter Ha In-gyu

(Guri=Break News, Northeast Gyeonggi) = The 「Debate for Re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in Gyeonggi-do Community」 chaired by Lee Eun-joo (People’s Power, Guri 2), a member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Committee of the Gyeonggi-do Council, was held at 14:00 on the 8th (Thu) at the Gyeonggi-do Office. It was announced through a press release that the event was held in the main auditorium with about 150 people attending, including those involved in lifelong education.

 

Heung-Kwon Yang, a professor at Daegu University, who gave a presentation at the forum, pointed out that Korean education should be reorganized through reflective reflection, explaining the growth process of Korean education and areas that have been overlooked behind the growth. He th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educators' educational capabilities and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Lee Hyeon-geun, president of the Gyeonggi Community Education Association, who was the first panelist, said that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centered around local lifelong learning centers that can immediately reflect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rather than being led by a state institution. He pointed out that it is important to guide the operation of stable and high-qual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consignment operation by the government and support for personnel expenses for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orking at consignment institutions.

 

Choi Hae-ok, director of the W&K Education Research Center, who was in charge of the second discussion, said that parental education for parents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her autobiographical experience of learning parent education as needed while raising children, majoring in graduate school, and now teaching parent education. Furthermore, it was diagnosed that parental education,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should be strengthen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family and society as a whole.

 

In the third discussion, Cho Rang, the representative of the consignment organization of Sosan Seowon, explained the difficult process of Sosan Seowon, which was privately owned by the family, until it was opened and used as a place for citizens’ lifelong learning. Although it was high, he explained that i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forward-looking judgment that local residents should inherit the right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raditional culture, the experience of designating a non-profit private organization as an entrusted institution and stably operating it for the past 16 years, and the interest of the local government.

 

Kang Sang-jae, head of the lifelong education headquarters of the Gyeonggi Provincial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gency, who was in charge of the fourth discussion, pointed out that the driving force of Korea's economic growth so far has been education for the school-aged population, but now is the time to pay more attention to lifelong education due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It was suggested that the current budget limit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overcome, and that vari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ntroduced.

 

Ji Mi-sook, head of the lifelong education department at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ho was in charge of the fifth discussion, explained the lifelong education that the Office of Education has been in charge of so far. As much as it is changing, the Office of Education also announced that it would try to pay more attention to lifelong education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a person's life as a whole.

 

Rep. Lee Eun-joo, who chaired the debate, said, “American scholars have found that social prosperity was achieved when education led industrial development, but when education lags behind industrial development, it causes social inequality.” Now, in the era of great transition to digital, is the time to take the lead in making K-Edu based on edutech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 he ordered.

 

On this day, Jong-hyeon Yeom, chairman of the Gyeonggi-do Council, Mi-ri Kim, chairman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Committee of the Gyeonggi-do Council, Dal-soo Kim, senior secretary for political affairs of Gyeonggi-do, and Jung-pyo Hong, director of convergence education at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delivered congratulatory messages. lit up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이태규 의원, 22대 총선 출마 선언 공식화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