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주 구리 경기도의원,유아교육 발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아이가 사라지는 세상, 행복한 아이 만들기 위한 유아교육이 되어야
다양성과 창의성이 중요한 유아교육.. 미래세대에겐 더 필요해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 기사입력 2022/12/16 [10:17]

이은주 구리 경기도의원,유아교육 발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아이가 사라지는 세상, 행복한 아이 만들기 위한 유아교육이 되어야
다양성과 창의성이 중요한 유아교육.. 미래세대에겐 더 필요해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 입력 : 2022/12/16 [10:17]

▲ 이은주 경기도의원 경기 유아교육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좌장 맡아 모두 발언 모습(사진제공=경기도의회)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 이은주(좌측 4번째) 경기도의원 경기 유아교육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 좌장 맡아 모두발언 모습(사진제공=경기도의회)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구리=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이은주 의원(국민의힘, 구리2)이 좌장을 맡은 「경기 유아교육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가 지난 12월14일 경기도교육연구원 대강당에서 임태희 교육감 등 500여 명의 유아교육 관계자가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경기도의회와 경기도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한 이번 토론회에서는 초저출생으로 인한 유아교육의 위기와 미래세대를 위한 유아교육의 방향 모색 등 유아교육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유아교육 발전방향에 관한 뜨거운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주제발표를 맡은 조형숙 중앙대학교 교수는 “우리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외부 요인으로 인구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전하고, “초저출생은 우리 사회에 경제적·문화적·사회적 충격파를 다양하게 전달하고 있고, 이와 함께 개인의 행복을 중요시 하는 현대인의 가치관 변화는 유아교육에도 다양한 니즈를 요구하고 있다”며, 아이가 사라지는 세상에서 유아교육이 미래세대의 행복과 문화예술 및 여가 컨텐츠 제공, 즐거운 경험의 장 마련 등 앞으로 변화시켜 나갈 과제를 제시했다.

 

두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정욱 기회평등학부모연대 대표는 교육의 비경쟁적 공영화가 가져온 문제점을 지적하며, “교육 공영화라는 개념을 절대적인 가치인 양 포장하여 공교육을 맡고 있는 교육당국이나 교육권력 집단들이 기득권을 사수하고 확장하는데 이용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교육공영화가 공교육 주체들의 기득권 지키기 프레임일 뿐 학부모 자녀학습권이라는 천부적 인권을 신장시키는 헌법정신에는 역행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어 김 대표는 “공교육 서비스를 국가가 직접 생산하여 제공해야 한다는 국가주의적이고 획일적인 인식은 버려야 한다”며, “다양성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발전해 온 사립유치원을 존중하고 공립과 사립이 형평성 있게 경쟁하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첫 번째 토론자로 나선 곽노의 서울교육대학교 교수는 “지구 상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나라로 우리나라가 손꼽히는 지금의 처참한 현실이 안타깝다”고 지적하고, “이제는 더 없이 소중해진 아이들의 진정 행복한 교육, 수요자 중심의 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두 번째 토론자인 이병래 중부대학교 교수는 “교육은 교육의 논리로 접근해야지 결코 정치적·경제적 논리로 접근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하고, “교육은 인간의 성장과 발전을 돕는 일인 만큼 유아교육의 정수를 선도하면서 협력적으로 경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 번째 토론자인 하성훈 새싹부모회 대표는 “자녀를 사립유치원에 보내는 학부모의 한 사람으로서 내성적이었던 아이의 변화를 통해 교육의 다양성이 주는 효과를 경험했다”고 전하고, “아이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창의적인 인재로 성장시켜 줄 수 있는 교육을 지원하는 것이 올바른 교육정책이라고 본다”며, “공립이든 사립이든 학부모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은 보장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네 번째 토론자인 강미자 안산햇살유치원 원장은 “오랜 시간을 교육자로서 사명감을 느끼며 일해 왔지만 어느 날 갑자기 다가온 「유치원 공공성 강화 방안」은 사립유치원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일거에 무너뜨리고 방향성마저 훼손시켰다”고 말하고, “유아교육은 공장에서 찍어내는 공교육으로 획일화 할 수 없다”며, “경기교육에서부터 사립유치원이 일궈놓은 유아교육에 대한 열정과 책임감을 믿어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박정일 경기도교육연구원 원장은 “지식전달자로서 학교 교육은 미래세대에겐 통용될 수 없다. 미래 직업의 70%는 아직 등장하지도 않았고, 학교에서 배운 지식의 대부분은 실시간 검색을 통해 쉽게 접근되는 시대가 바로 미래세대가 맞닥드릴 현실”이라고 지적하고, “IB, DQ, AI 등 미래세대를 위한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맞춤형 미래교육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이은주 의원은 “인구 변화에 따른 학령인구의 감소, 유보통합 논의 등 현재 유아교육이 직면한 어려움이 산재해 있지만 그 속에서도 묵묵히 유아교육에 매진해온 사립유치원 관계자 분들의 노고와 열정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전하고, “오늘 토론회에서 나온 유아교육 발전방향에 대한 다양한 고민들은 교육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교육위원으로서 노력하겠다”고 약속하며 토론회를 마무리 지었다.

 

이날 토론회에는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김미리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위원장, 윤태길 경기도의회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 백현종 경기도의원, 윤정순 한국유치원총연합회 경기도지회장이 축하 인사를 전했으며, 한원찬 경기도의원, 이채영 경기도의원도 토론회를 함께 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article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ncreas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Lee Eun-joo, a member of Guri Gyeonggi-do, holds a policy debate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world where children are disappea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create happy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ere diversity and creativity are important.. Future generations need more

 

-Reporter Ha In-gyu

(Guri=Break News, Northeast Gyeonggi) = On December 14, at the auditorium of the Gyeonggi Provinci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the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Gyeonggi」, chaired by Lee Eun-joo, a member of the Gyeonggi Provincial Assembly Education Administration Committee (People's Power, Guri 2), was held. It was announced through a press release that the event was held successfully with the participation of around 500 early childhood education officials, including Superintendent Lim Tae-hee.

 

In this forum, co-hosted and supervised by the Gyeonggi-do Council and Gyeonggi-do, there was a heated debate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experts participat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uch as the crisi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the search for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had

 

Cho Hyeong-sook, professor at Chung-Ang University, who was in charge of the presentation, sai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demographic change as an external factor that fundamentally changes our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change in values of modern people who value personal happiness is demanding various nee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uggested challenges for future change.

 

Kim Jeong-wook, the representative of the Parents’ Coalition for Equal Opportunity, who gave the second presentation, pointed out the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non-competitive publicization of education. While mentioning that they are using it to protect and expand vested interests,” he criticized, “Public education is only a frame to protect vested interests of public education subjects, and it goes against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that promotes the natural human right of parents and children’s right to learn.” Next, CEO Kim said, “The nationalist and uniform perception that the state should produce and provide public education services directly should be abandoned,” and “We respect private kindergartens that have developed based on diversity and autonomy, and conditions for public and private to compete equitably. should be provided,” he said.

 

Kwak No-eui,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o participated as the first panelist, pointed out, “It is regrettable that Korea is currently considered one of the first countries to disappear from the earth.” It has to be focused,” he suggested.

 

The second debater, Lee Byung-rae, professor at Joongbu University, pointed out that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with the logic of education, never with the logic of politics or economics,” and “As education helps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it leads the ess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 have to compete cooperatively while doing so,” he stressed.

 

The third panelist, Ha Sung-hoon, representative of the Sprout Parents Association, said, “As one of the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private kindergartens, I have experienced the effect of diversity in education through the change of my introverted child.” He pointed out that it is the right education policy to support education that can grow children into children,” and pointed out that “various forms of education that parents can choose from, whether public or private, must be guaranteed.”

 

The fourth debater, Kang Mi-ja, director of Ansan Sunshine Kindergarten, said, “I have been working for a long time as an educator, but one day, the [plan to strengthen the public nature of kindergartens] that suddenly came to me destroyed the diversity and autonomy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even damaged their direction.” , “Education for children cannot be standardized as public education produced in factories,” and emphasized, “We must believe in the passion and responsibil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private kindergartens have developed from Gyeonggi Education.”

 

Park Jeong-il, director of the Gyeonggi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who was the last debater, said, “School education as a knowledge transmitter cannot be used by future generations. He pointed out that 70% of future jobs have not yet appeared, and most of the knowledge learned in school is easily accessible through real-time search. This is the reality that future generations will face.” It is necessary to shift to customized future education to nurture creative talent,” he emphasized.

 

Rep. Lee Eun-joo, who chaired the debate, sai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fa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uch as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due to population changes and discussions on the integration of reservations, but I am deeply grateful for the hard work and passion of the private kindergarten officials who have silently devoted themselv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He concluded the forum by saying, “I will do my best as a member of the education committee so that the various concern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oday’s forum can b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policy.”

 

On this day, congratulatory messages were delivered by Jong-hyeon Yeom, Chairman of the Gyeonggi-do Council, Tae-hee Lim, Superintendent of Education of Gyeonggi-do, Mi-ri Kim, Chairperson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Committee of the Gyeonggi-do Council, Tae-gil Yoon, Chairperson of the Ethics Special Committee of the Gyeonggi-do Council, Hyeon-jong Baek, Gyeonggi-do Councilman, Jeong-soon Yoon, President of the Gyeonggi-do Branch of the Korea Federation of Kindergarteners, Won-chan Han, Gyeonggi-do Councilor, Chae-young Lee. Gyeonggi-do councilors also participated in the debate.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이태규 의원, 22대 총선 출마 선언 공식화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