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주 경기도의원,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행정사무감사 질의

-학교 여건 고려, 면밀한 고교학점제 대비 촉구
-고교학점제 원활한 추진 위한 장기적이고 유연한 활용 공간 조성 필요
- 통합운영학교 공간 특성 등 여건 반영한 기본계획 수립되어야
- 경기도형 스페이스 프로그램 개발, 공간 조성 예산 지원 확대 촉구

하인규 기자 | 기사입력 2022/11/10 [21:16]

이은주 경기도의원,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행정사무감사 질의

-학교 여건 고려, 면밀한 고교학점제 대비 촉구
-고교학점제 원활한 추진 위한 장기적이고 유연한 활용 공간 조성 필요
- 통합운영학교 공간 특성 등 여건 반영한 기본계획 수립되어야
- 경기도형 스페이스 프로그램 개발, 공간 조성 예산 지원 확대 촉구

하인규 기자 | 입력 : 2022/11/10 [21:16]

▲ 경기도의회 이은주 의원(사진제공=경기도의회)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구리=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이은주 의원(국민의힘, 구리2)은 지난 9일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에서 실시된 2022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고교학점제 시행을 준비함에 있어 도교육청이 명확한 정책방향을 마련하여 다양한 학교 여건을 고려한 학교 공간 확대와 재배치를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질의에서 이은주 의원은 “교육부 정책에 따라 2025년을 목표로 고교학점제 시행을 준비 중이지만 이를 위한 학교 공간을 조성하는데 있어 미흡한 점이 많다”며, “먼저 단순 교실 수의 확대가 아닌 학생들의 선택 과목 수 변화에 따른 상시 유연한 실 배치가 필요하고, 단기적인 리모델링이 아닌 향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학교 공간이 되도록 공간조성을 위한 추가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에는 학교 설립 또한 초·중, 중·고 또는 초·중·고를 통합하는 식의 통합운영학교 설립이 늘고 있는데, 좁은 면적에 두 학교급을 설립하면서 공간 부족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며, “해당 문제에 대한 대책을 포함하여 통합운영학교 정책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기본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특히 고교학점제 공간 구성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교육개발원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은 현재 경기교육 여건에 맞지 않아 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 학교 교육과정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경기도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며, “앞서 언급한 도시형 통합운영학교 신설 여건도 고려한 스페이스 프로그램 개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은주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현재 도교육청의 고교학점제 준비상황을 보면 정책 방향과 예산 지원 측면에서 모두 갈피를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는 경향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며, “수업방식의 변화로 학교 전체의 공간 확대와 재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이기에 도교육청에서는 다양한 학교 여건과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text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ncreas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yeonggi Assemblyman Lee Eun-ju,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Considering school conditions and urging careful preparation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pace for long-term and flexible use for the smooth promo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A basic plan should be established that reflects the conditions such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operation school

- Development of Gyeonggi-do-type space program, urging to expand budget support for space creation

 

- Reporter Ha In-gyu

(Guri = Break News Northeast Gyeonggi = Gyeonggi Provincial Assembly Education Administrative Committee Lee Eun-joo (People's Power, Guri 2) said on the 9th that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as prepar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t the 2022 administrative audit held at the Northern Office of the Gyeonggi Office of Education on the 9th. He urged that the expansion and relocation of school space should be pursu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chool conditions by preparing a clear policy direction.

 

In the question, Rep. Eunjoo Lee said,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are preparing to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2025, but there are many shortcomings in creating a school spac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arrange flexible rooms at all times in accordance with this, and additional budget support is needed to create a school space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in the future rather than a short-term remodeling.”

 

He continued, “Recently, more and more schools are establishing integrated management schools that integrat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ic plan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integrated management school policy, including countermeasures for the problem,” he ordered.

 

In particular, regarding the 'space program' used to organiz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pace, "The space program of the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does not fit the current Gyeonggi education conditions, so rather than using it as it 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yeonggi-style progra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schoo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space progra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ondi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urban-type integrated operation school mentioned above.”

 

In a press release, Rep. Lee Eun-ju said, “If you look at the current state of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f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re is a large tendency that they are not properly aligned in both the policy direction and the budget support. In a situation where space expansion and relocation must be made,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ust carefully analyze various school conditions and expected problems and take action.”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이태규 의원, 22대 총선 출마 선언 공식화
1/9